대출한도가 부족하다면? 대출한도 늘리는 방법 총정리

By 2024-04-15Finance
대출한도 늘리기

갑자기 급하게 목돈이 필요해지면 금리가 조금 높더라도 당장 대출 가능한 금액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내가 원하는 금액만큼 한도가 나오지 않으면 답답해질 수 밖에 없는데요. 이럴때 원하는 만큼 대출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대출한도를 늘릴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대출한도 늘리는 방법 총정리

신용점수 올리기

대출 심사 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신용점수입니다. 신용점수의 중요성은 여러번 강조해도 모자라지 않는데요. 신용점수가 높을 수록 금리는 낮아지고 한도는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신용점수를 올리는 가장 쉬운 방법은 연체 없이 제대 갚는 것인데요. 이외에도 평소에 아래 방법들을 꾸준히 지켜나가면 신용점수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됩니다.

신용점수 올리는 수칙

  • 신용카드는 한도 30% 이내로 사용하기
  • 체크카드는 6개우러간 30만원 이상씩 꾸준히 사용하기
  • 카드론, 현금서비스는 되도록 이용하지 않고 만약 둘다 갖고 있다면 금리가 높은 현금서비스부터 먼저 갚기
  • 대출이 여러 개라면 소액대출, 오래된 대출부터 갚아 개수를 줄이고 통합하는 방법을 찾아서 대출 개수 줄이기

만약, 급하게 지금 당장 신용점수를 올려야 한다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납부내역 같은 ‘비금융정보’를 제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런 정보는 신용평가기관이 미처 챙기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6개월 이상 성실납부 했다는 사실이 입증되면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증명하기

신용점수와 마찬가지로 소득도 높을수록 대출한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대출을 갚을 능력이 더 좋다고 금융기관에서 판단하게 되기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프리랜서, 무직, 주부 등 수입이 없거나 일정하지 않은 분들은 대출한도가 불리하게 측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이런 경우 추정소득에 대한 서류를 제출 할 수 있습니다.

추정소득 종류

  • 인정소득 : 건강보험, 국민연금납부내역으로 소득 증명을 대신하는 방법입니다. 디딤돌, 보금자리론 같은 정부정책 대출에서는 이러한 인정소득을 함께 평가합니다.
  • 신고소득 : 카드 사용내역으로 대신하는 방법입니다. 체크카드, 신용카드 모두 가능하고 홈텍스에 신고된 공제대상 금액 기준으로 은행이 소득으로 바꿔서 계산해줍니다.

예를 들어 3개월 동안 국민연금을 평균 79,000원 납입했다면 소득 1천만 원을 인정 받는 식이며 자세한 기준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소득인정금액 건강보험료(3개월 평균) 국민연금(3개월 평균) 카드 사용 금액(1년)
1000만원 31,000원 79,000원 4,260,000원
2000만원 62,000원 158,000원 8,520,000원
3000만원 92,000원 237,000원 12,770,000원
4000만원 123,000원 316,000원 17,030,000원
5000만원 154,000원 395,000원 21,280,000원

* 금융기관/대출별로 소득 인정여부와 필요한 서류가 다를 수 있으니 해당 금융기관에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담보대출 알아보기

신용대출보다는 담보대출이 높은 한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대출금을 못 갚을 시 담보물이 생기기 생기기 때문입니다. 담보의 종류에는 부동산, 자동차, 예적금, 주식까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 가장 많이 받는 건 부동산담보대출, 그 다음엔 자동차담보대출입니다. 내 녕의 자동차가 있다면 차 시세의 100%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지만 금리는 부동산담보대출보다 높은 편입니다.
  • 예적금담보대출의 경우에는 급전이 필요한 경우 아까운 예적금을 해약하지 않고 이를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주식담보대출은 해당 주식을 갖고 있는 증권사에서 가능한 대출입니다. 다만, 주가가 일정 금액 아래로 떨어지면 돈을 채워넣어야 하고, 이를 못하면 반대매매(주식을 강제로 일괄매도 하는 것) 등의 불이익을 당할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DSR 계산하기

DSR이란 소득 대비 대출 비율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연소득의 40% ~ 50% 이상을 대출 원리금(원금+이자) 갚는 데 쓰면 안된다고 정해놓은 건데요. 이러한 규제도 보다 영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 대출기간은 길게
    먼저 대출의 상환기간을 길게 잡을 수록 유리해요. 매년 내는 원리금이 줄어들면서 DSR에도 그만큼 여유가 생기게 됩니다. 예를들어 5억 원을 4% 금리로 빌리려 한다면, 대출기간 10년에 원리금은 6천만원이지만 대출기간을 40년으로 늘리면 연간 원리금이 2,400만원으로 깍이면서 추가로 대출가능한 금액은 더 늘어나게 됩니다. 다만, 상환기간이 길어지면서 여러번 나눠 내는 총 이자액수는 늘어날 수 있습니다.
  • DSR미적용 대출
    새희망홀씨, 사잇돌대출 같은 서민금융상품이나 전세자금대출, 예적금담보대출 등은 DSR과 무관하게 조건만 맞다면 받을 수 있으니 대출 받기 전에 먼저 살펴보면 유리합니다.
1금융권, 2금융권 두루 살펴보기

1금융권이 금리가 낮고 한도가 높은 것이 사실이지만 캐피탈, 저축은행 등 2금웅권도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오랫동안 이용한 주거래 은행이라고 해서 무조건 높은 한도를 보장하는 건 아니며 특히 신용점수가 낮다면 오히려 2금융권에서 더 많은 선택지를 찾아보실 수도 있습니다.

대출한도 늘리는 방법 마무리

대출 한도를 늘릴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하반기부터는 중앙은행의 기준금리가 내려갈 것으로 정망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시중은행은 물론 2금융권의 대출금리도 영향을 받아 내려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대출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시면서 유리한 조건으로 대출을 실행해보시기 바랍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