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장애의 원인, 만성 편두통 치료법

By 2023-09-04Health
만성 편두통 턱관절 장애

만성 편두통

매일같이 과로와 스트레스, 피로에 시달리는 직장인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질환 중 하나가 바로 만성 편두통일 것이다. 그 외에도 소화불량, 척추측만증 그리고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인한 거북목 등이 직장인에게 자주 일어나는 증상들이다. 하지만 특히 만성적인 편두통은 상당한 고통을 동반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만성 편두통은 항상 머리 한쪽에 통증이 있으며 가끔씩 심해지는 통증에 업무는 물론 일상생활까지 지장을 줄 수 있다. 약을 먹어보기도 하고 내과를 찾아 진찰을 받아보아도 크게 나아지지 않는 경우가 많지 않다.

만성 편두통의 원인

의학적으로 편두통의 원인을 갑작스러운 신체 내부 또는 외부 환경의 변화에 뇌신경과 혈관 계통이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여 통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즉 아주 예외적인 질환인 암이나 뇌종양 등을 제외하면 스트레스나 과로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만성 편두통과 턱관절 장애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원인 모를 편두통이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다면 대부분 교합 이상에 따른 턱관절 장애로 인한 것일 확률이 높다는 게 치과의사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치아의 맞물림이 잘못되었을 때 이러한 과도한 충격이 반복되어 이상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편두통을 일으키는 원인에는 스트레스, 과로, 이갈이, 수면 부족, 외상, 정신적 충격, 교합 이상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임상 연구 결과 부정교합에 기인한 턱관절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 대부분이 만성적인 편두통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턱관절 장애(TMD)는 부정교합으로 인한 잘못된 치아 맞물림이 오랫동안 지속되다 턱관절이 어긋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를 악물거나, 이를 가는 버릇, 턱을 손으로 괴거나, 질기고 딱딱한 음식을 먹는 습관 등으로 턱관절에 이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심한 스트레스도 이러한 턱관절에 이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만성 편두통 턱관절 장애

턱관절 장애의 치료

만성적인 편두통을 일으킬 수 있는 턱관절장애가 치아 맞물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치과의사에게 일차적으로 진단을 받아본 후 개개인에게 맞는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턱관절장애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약물 요법이나 물리 치료로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잘못된 치아 맞물림으로 인한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합치료나 교정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특수 제작된 교정 장치(스프린트)를 착용해 턱의 위치가 정중앙에 올 수 있도록 도와 손상된 턱관절 주위와 전신근육을 어느정도 회복시켜 턱관절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

무엇보다 턱관절질환은 치과에서 교합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받아 또한 정확한 원인과 증상을 파악한 후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일시적인 경우에는 간단한 물리치료나 소염제와 같은 약물치료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지만 치아 맞물림 이상에 의해 생긴 턱관절장애는 스프린트와 같은 장치를 통해 턱관절을 어느정도 회복한 후 증상을 개선할 수 는 있으며 이를 통해 편두통이나 어깨결림 등의 증상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정상교합을 만들기 위한 보철치료나 교정치열 교정을 함께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 턱관절 장애 측두하악증후군
▶ 치아를 망치는 잘못된 양치질 습관 7가지
▶ 겉으로 멀쩡해 보이는데 치아에 금이 갔다? – 치아균열증

Leave a Reply